


2024년도 대한신경과학회 우수구연발표상 수상자 명단



2024년도 뇌파 집중 교육과정(comprehensive EEG course: CEC)

대한뇌파정도관리위원회에서는 관심을 가지고 배우고자 하는 여러 선생님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올해도 CEC2024를 개최하였습니다.
대한뇌파정도관리위원회(The Korean EEG Quality Control Committee: K-EEG-QCC)는 2013년 뇌파 관련 중추 학회인 대한신경과학회, 대한소아신경학회, 대한뇌전증학회,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로부터 위촉된 전문가들이 모여 뇌질환의 임상 검사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뇌파의 한 차원 높은 발전을 위하여 발족되었습니다.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뇌파 교육을 위해 매년 하루 과정의 뇌파집중교육과정(comprehensive EEG course: CEC)을 개최해 오고 있으며, 가장 공신력 있는 “대한뇌파인증의시험(Korean EEG certificate examination: KECE)”을 통해 “뇌파 전임의 인증의”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KECE 합격을 통해 뇌파 자격에 대한 인증을 받은 뇌파 전문가는 260명이며, 각자의 임상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KECE는 전문의를 취득한 후 뇌전증(뇌파검사) 전임의 수련을 이수한 전문의에 대한 인증 시험 시행으로 2015년 2월에 처음 시작되었고, KECE 2025도 2025년 2월 준비 중입니다.
KECE를 대비할 수 있는 뇌파에 대한 집중 교육과정으로 기획되는 CEC 2024 과정은 오프라인으로 2024년 9월 1일(일) 개최되었습니다.
CEC 2024는 KECE를 준비하시는 전임의 선생님들 만이 아니라 뇌파 실전 경험을 증대시키고 정리하고자 하는 신경과, 소아신경과 전공의, 또한 개원의 선생님들에게도 도움이 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기본 개념, 정상 뇌파, 비정상 뇌파, 그리고 응용 뇌파 부분에서 뇌파의 중요한 요점 중심으로 하루의 짧은 시간이지만 집중적 정리하며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임상 뇌파의 주요 주제들을 망라하였으며 발작 뇌파, 정량 뇌파, 연속 뇌파 부분도 포함하였습니다.
| 2024년도 뇌파집중교육과정 현장 스케치


신경학 CAFE : 전공의 Online Conference
● 교육 일시 : 2024년 9월 11일 수요일부터 매주 수요일 오후 6시, 공휴일 휴강
[교육 기간: 2024년 9월 11일(수) ~ 2025년 2월 19일(수), 공휴일 휴강]
● 교육 방법 : 실시간 온라인 교육(Zoom Online)
*실시간 강의 종료후 온라인 강의 오픈
● 교육 내용 : 신경학 4판 中 [총론 SECTION3-6. 대표적 신경계 증상]
● 프로그램(진행中)

● 신청 방법 : [사전등록 바로가기] 버튼 클릭 → 로그인(신경과학회 홈페이지 ID/PW 동일)
→ 교육신청페이지 → 희망하는 Chapter 교육 신청 및 상세보기 클릭 → 교육 신청 클릭
* 교육 등록 page는 월별로 open 예정이며, 본 뉴스레터 또는 대한신경과학회 e-learning center(https://cme.neuro.or.kr/)
접속을 통하여 교육 신청 가능합니다.
** 월별 교육 등록 page open 일정

● Notice

대한신경과학회 홍보위원회 비온뒤
2024년 1월 -11월
● 주제 : 섬유근육통과 신경병성통증
● 일시 : 2024년 5월 30일 목요일
● 연자 : 신제영(한림대동탄성심병원)
섬유근육통은 만성적으로 전신의 근골격계 통증, 뻣뻣함, 감각 이상, 피로 등이 나타나는 통증 증후군입니다. 이로 인해 섬유근육통 환자들은 작은 자극에도 큰 통증을 느껴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겪습니다. 아래 영상에서 신경병성통증에 대해 더 알아보세요.
▶ 조회수 : 4,118회 (2024년 11월 기준)
● 주제 : 두통과 어지럼, 뇌 때문이 아니라고요?
● 일시 : 2024년 6월 13일 목요일
● 연자 : 김예림(한림대강동성심병원)
두통과 어지럼증은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증상이지만, 이러한 문제가 항상 뇌와 관련된 것은 아닙니다. 아래 영상에서 두통과 어지럼증의 다양한 원인을 살펴보고, 이 증상들이 뇌 이외의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세요.
▶ 조회수 : 7,104회 (2024년 11월 기준)
● 주제 : 경추성 두통
● 일시 : 2024년 7월 11일 목요일
● 연자 : 손유리(서울정형외과신경과의원)
경추성 두통은 목 부분의 척추와 인접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두통입니다. 아래 영상에서 각종 두통의 원인과 진단 방법, 그리고 효과적인 치료 전략에 대해 알아보세요.
▶ 조회수 : 2,252회 (2024년 11월 기준)
● 주제 : 파킨슨병, 운동을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일시 : 2024년 8월 8일 목요일
● 연자 : 박진세(인제대해운대백병원)
파킨슨병은 치매 다음으로 흔한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입니다. 파킨슨병은 중뇌에 위치한 흑질이라는 뇌의 특정부위에서 이러한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원인 모르게 서서히 소실되어 가는 질환입니다. 아래 영상에서 파킨슨병을 예방하기 위해 어떤 운동을 하면 좋은지에 대해 알아보세요.
▶ 조회수 : 12,609회 (2024년 11월 기준)
● 주제 : 우연의 질병, 필연의 죽음 - 죽음을 앞둔 자의 이야기
● 일시 : 2024년 9월 12일 목요일
● 연자 : 이상범(서울신내의원)
삶의 마지막 단계는 누구나 언젠가는 맞이하게 되는 필연적인 과정이지만,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정서적, 그리고 의학적 변화는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납니다. 아래 영상에서 환자들이 직면하는 경험을 통해 인생의 마지막 단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지, 죽음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의학적, 심리적 측면을 알아보세요.
▶ 조회수 : 5,619회 (2024년 11월 기준)
● 주제 : 치매 치료의 현재와 미래
● 일시 : 2024년 10월 10일 목요일
● 연자 : 이학영(강동경희대병원)
노년기, 가장 두려운 병을 꼽자면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치매입니다. 하지만 과거와 다르게 치매 치료도 점점 발전하고 있습니다. 아래 영상에서 치매 치료의 변화 과정을 알아보세요.
▶ 조회수 : 3,167회 (2024년 11월 기준)
● 주제 : 두통 치료 A to Z : 생활습관 교정부터 약물, 주사까지
● 일시 : 2024년 11월 14일 목요일
● 연자 : 배대웅(삶신경과의원), 길영은(가톨릭대성빈센트병원)
지끈지끈 찾아오는 두통은 일상에 다양한 불편감을 일으킵니다. 어느날 부터 갑자기 내게 찾아온 두통! 도대체 어떻게 치료 할 수 있을까요? 아래 영상에서 두통 치료의 모든 것을 알아보세요.
▶ 조회수 : 3,119회 (2024년 11월 기준)

알츠하이머 정복
- 치료제 개발에서 정식 승인까지 -

2023년 미국 FDA, 일본 후생성 정식 승인에 이어
마침내 2024년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승인한
신약 ‘레카네맙’, 알츠하이머의 실마리를 풀다!
치료제 개발에 관한 20여 년의 취재 기록
전 세계적으로 약 5천만 명의 환자가 고통 받고 있는 ‘알츠하이머’는 암처럼 아직 치료법이 없다. 알츠하이머는 1907년 독일의 의사 알로이스 알츠하이머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으며,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질환으로 아밀로이드 베타의 축적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전 세계 100개국 이상에서 승인된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리셉트’는 근본적인 치료제는 아니기에 병의 진행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으나, 신경 전달 물질을 증가시키고 탈락해 나가는 신경 세포의 신호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증상을 완화시킨다. 이 약은 최초의 알츠하이머 치료제였지만 대증요법을 위한 약이었다. 많은 이들이 원인을 치료하는 근본적 치료제를 기다리고 있었다.
미국의 과학자 데일 솅크는 아밀로이드 베타 항체를 이용해 뇌 속의 아밀로이드 베타를 분해하거나 없애는 참신한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동료들은 항체가 생기더라도 뇌의 혈액뇌장벽(BBB)을 통과할 수 없을 거라고 만류했지만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은 대성공이었다. 아밀로이드 베타를 접종하면 노인성 반점의 형성을 막을 뿐만 아니라 이미 생성된 노인성 반점에도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알츠하이머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최초의 약, ‘레카네맙’의 탄생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