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게판트: 경구용 칼시토닌유전자관련펩타이드대항제
글_김병건(노원을지대학교병원 신경과)
1. 서론
편두통은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만성신경계질환으로,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칼시토닌유전자관련펩타이드(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가 편두통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로 밝혀지면서 이를 표적으로 하는 여러 치료제들이 개발되었다. CGRP표적치료는 주사제인 CGRP단클론항체와 경구제인 CGRP대항제로 나뉜다. 아토게판트(atogepant)는 경구 CGRP대항제 중 최초로 미국 FDA에서 승인되고, 국내에서도 처음으로 출시된 예방약제이다.
2. 작용 기전과 약역동학
CGRP는 삼차신경말단 비수초성 C-섬유가 자극되면 방출되는 신경펩타이드로 뇌막(특히 경막)혈관을 확장시키고, 혈관주위 염증과 통증 신호를 증폭시키고, 중추로의 통증 신경전달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토게판트는 CGRP 수용체 대항제(CGRP receptor antagonist)로, CGRP가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여 혈관 확장 및 통증 전달을 억제한다 (그림1).
약동학적으로 아토게판트는 경구투여 후 빠르게 흡수되며 혈중 최고농도 도달시간(Tmax)은 평균 2시간 내외이다. 약물의 반감기는 약 11시간으로 하루 1회 투여가 가능한 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첫 투여부터 용량조절이 필요없다. 간에서 CYP3A4 효소에 의해 주로 대사된다.

▲ 그림1. 편두통에서 CGRP대항제의 작용부위 (Dodick DW. 2018)
삽화편두통(ADVANCE), 만성편두통(PROGRESS), 치료가 어려운 편두통(ELEVATE)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3개의 주요임상연구에서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되어 있다 (표1). 주요임상시험결과를 요약하면 삽화편두통, 만성편두통, 치료가 어려운 환자군 모두에서 CGRP항체와 비슷한 정도의 치료효과를 보이고 있다. 빠른 작용시작 시간으로 인하여 급성기 편두통에서도 현재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표1. 아토제판트 주요 임상시험결과요약

4.1 흔한 부작용은 변비, 메스꺼움, 소화불량, 피로 및 체중감소가 있다.
4.2 주의사항
· CYP3A4 억제제/유도제와의 상호작용 가능성이 있으며 간 기능 이상 환자에서는 용량 조절이 필요이 필요하다.

아토게판트는 편두통 예방치료에 허가된 최초의 경구용 CGRP수용체대항제이다. 작용발현이 신속하여, 향후 급성기치료에 대한 적응증 추가도 기대된다. 기존 예방 약물에 내약성이 낮거나 효과가 불충분한 환자, 그리고 약물과용두통 환자에서 약물과용의 위험이 없는 CGRP계열 약물로서 유용한 치료옵션이 될 수 있다. 또한 아토게판트는 경구용 예방약물 중 토피라메이트와 함께 체중 감소효과가 보고된 약제라는 점에서도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편두통 치료에서 중요한 치료적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구역 등 소화기계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으며, 간질환 환자에게는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아울러, 서구에서는 10 mg, 30 mg, 60 mg 제형이 허가되어 다양한 용량의 사용이 가능한 반면, 국내에서는 60 mg 단일제형만 허가된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1. Ashina M, Katsarava Z, Do TP, Buse DC, Pozo-Rosich P, Özge A, et al. . Migraine: epidemiology and systems of care. Lancet. (2021) 397:1485-95.
2. Dodick DW. Headache. 2018;58 Suppl 1:4-16.
3. Baraldi C, Beier D, Martelletti P, Pellesi L. The preclinical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atogepant for migraine prophylaxis. Expert Opin Drug Discov. (2024) 19:783-8.
4. Ailani J, Lipton RB, Goadsby PJ, Guo H, Miceli R, Severt L, et al. . Atogepant for the preventive treatment of migraine. N Engl J Med. (2021) 385:695-706.
5. Pozo-Rosich P, Ailani J, Ashina M, Goadsby PJ, Lipton RB, Reuter U, et al. . Atogepant for the preventive treatment of chronic migraine (PROGRESS):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3 trial. Lancet. (2023) 402:775-85.
6. Goadsby PJ, Friedman DI, Holle-Lee D, Demarquay G, Ashina S, Sakai F, et al. . Efficacy of Atogepant in chronic migraine with and without acute medication overuse in the randomized, double-blind, phase 3 PROGRESS trial. Neurol Int. (2024) 103:584.
7. Tassorelli C, Nagy K, Pozo-Rosich P, Lanteri-Minet M, Sacco S, Nezadal T, et al. . Safety and efficacy of atogepant for the preventive treatment of episodic migraine in adults for whom conventional oral preventive treatments have failed (ELEVATE): a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phase 3b trial. Lancet Neurol. (2024) 23:382-92.
8. Ashina M, Tepper SJ, Reuter U, Blumenfeld AM, Hutchinson S, Xia J, et al. . Once-daily oral atogepant for the long-term preventive treatment of migraine: findings from a multicenter, randomized, open-label, phase 3 trial. Headache. (2023) 63:79-88.